본문 바로가기

영화 방송 이론 및 비평/영화 리뷰

<멋진 일요일>과 <휴일> 리뷰 : 붕괴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만희 감독 <휴일>

 

<멋진 일요일>과 <휴일>을 연결 짓는 이미지는 붕괴 순간에서 어떻게든 벗어나려는 주인공의 몸부림이다구로사와 아키라의 1947년 작품 <멋진 일요일>과 이만희의 1968년 작품 <휴일>, 두 작품은 지리적은 물론이고시간적으로도 동떨어진 작품이다하지만 두 작품은 구조적으로 유사할 뿐 아니라 포착하고 있는 시대적 분위기도 비슷하다. <멋진 일요일>과 <휴일>이 각 시대의 공기를 어떻게 포착했는지그 공기는 어떠한 시점에서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자.  

 

<멋진 일요일>, <휴일모두 일요일 하루 동안의 일이다즉 두 영화의 구조적 유사성은 일요일 하루라고 볼 수 있다일요일이란일반적으로 노동을 하지 않는 날쉬는 날이지만, <멋진 일요일>의 남자 주인공 유조와 <휴일>의 남자주인공 허욱은 일요일에 불안감과 좌절감이 있는 존재로 그려진다주인공의 이러한 감정은 일요일을 제대로 즐길 수 없다는 것에 기인하며더 나아가그들을 심리적 붕괴의 상태로 이끈다이들 붕괴의 핵심은 가난돈이 없다는 것이다특히 초반부분 주인공이 등장은 붕괴가 여실히 드러나는 장면이다. <멋진 일요일>의 주인공은 떨어진 담배를 주워 피우려다가 포기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며, <휴일>은 담배를 피기 위해 공갈을 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상황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가 있을 뿐두 영화의 장면은 유사하다심리적 붕괴뿐만 아니라두 영화의 풍경 또한 붕괴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멋진 일요일>은 전후의 분위기 속에서 거리를 중심으로무너진 건물의 이미지텅 빈 공연장의 이미지를 보여준다비슷하게, <휴일>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유신의 그림자가 무르익는 박정희의 시절과 맞물려거리를 중심으로거센 모래바람의 이미지공사장의 이미지로 영화를 구성한다

 

<멋진 일요일>와 <휴일>의 붕괴 이미지는 미국화라는 큰 맥락에 맞물려 있다두 영화의 가장 큰 유사점인 일요일이라는 날짜만 생각해도 그렇다정기적으로 쉬는 날일요일은 원래 한국과 일본에 존재하지 않았다일본의 경우는 19세기 중반에 메이지 일왕이 정권을 잡으면서음력을 폐지하고양력을 사용한다한국의 경우는 일본인들에 의해 1895년 4월에 강제로 실시된 을미개혁 때 양력을 사용하면서부터 쓰기 시작했다그 전까지는 지금의 일요일같이 절대 휴일의 개념이 없었다정기적으로 쉬는 날 속에서 붕괴를 느끼는 상황 자체가 근대적인 경험인 것이고크게 봤을 때미국화의 맥락 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전후냉전의 흐름 속에서 일본과 한국은 엄연히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영화 속 주인공은 미국을 담담하게 받아들일 뿐 아니라오히려 찬양한다이들의 이러한 태도는 새로운 문물에 대한 동경으로 느껴지기도 한다영화 속에서 종종 등장하는 미국의 이미지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멋진 일요일>의 거리의 풍경카페의 이미지지휘자가 된 유조의 미완성 교향곡 등을 들 수 있고마찬가지로 <휴일>도 카페의 이미지양주를 마시는 술집의 이미지종소리 등을 들 수 있다구체적으로, <멋진 일요일>의 유조와 애인 마유코는 최종적으로 저렴한 커피를 파는 과제 가게를 창업하고 싶어 하고, <휴일>의 허욱과 지연은 눈치안보며 커피숍에 가는 것을 원하면서마지막 장면에서 허욱은 거리를 쳐다보며커피를 마신다고 말하기도 한다미국화라는 맥락 속에서 두 영화는 붕괴의 지점을 만든다앞에서 말했듯이, <멋진 일요일전후 냉전의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휴일>은 서양을 모방하면서 시작된 경제개발 바람과 유신의 그늘 속에 있기 때문이다이렇듯 미국에 의해 붕괴지점이 만들어졌지만이들은 미국을 벗어날 수 없다.  오히려 미국을 이용하기도 하고무시하기도 하며각자의 방법으로 이러한 붕괴를 무력화시킨다

 

 

 

<멋진 일요일>과 <휴일>의 남성 주인공이 마냥 붕괴해버리는 무력한 이미지로 그려지지는 않는다그 이유는 남성 주인공을 구원하는 존재로서 여성 주인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멋진 일요일>의 유조가 미완성 교향곡을 지휘하는 과정에 있어서마유코의 가난한 연인들에게 희망과 살길을 달라고 눈물로 호소하는 장면은자기 자신의 붕괴를 막으며유조의 붕괴를 막아주는 존재로서 기능하기에 충분하다. <휴일>의 지연은 자기 스스로 담뱃불 하나 못 붙이는 허욱의 담뱃불을 붙여주는 존재로 기능할 뿐자신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뒤로 숨을 뿐이다하지만 결국 죽음으로써허욱을 붕괴로부터 벗어나게 한다이것은 허욱의 분노로 표현된다지연이 죽고 나서 미친 듯이 울부짖는 허욱의 분노는 허욱에게 돈을 도둑맞아 주먹세례와 발길질로 앙갚음을 하던 친구마저 압도시키고 뒷걸음질 치게 만든다

 

이러한 시대에 대해 두 영화 모두 분노한다. <멋진 일요일커플의 분노는 미완성 교향곡을 지휘하는 방향이었다면, <휴일커플의 분노는 죽음으로서 표현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휴일>은 검열로 인해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이 잘려나갔다잘려나갔다고 알려진 장면은 허욱의 시체가 발견되는 장면이다허욱과 지연은 모두 죽는다.) 이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무력하고 허무한 정서라고 단언하기에는 주저되는 지점이 있다그것이 희망이든혹은 절망이든단순히 붕괴또는 무력감을 뛰어넘어 더 높은 방향으로 나아간다면어떠한 방향이든 의미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즉 <멋진 일요일>에서 미완성 교향곡의 지휘, <휴일>에서 무력해 보이는 죽음은 당시 사회를 고발하는 장치로서 저항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