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방송 이론 및 비평/영화 리뷰

이만희 감독의 <쇠사슬을 끊어라> 리뷰

이만희 감독의 <쇠사슬을 끊어라>는 웨스턴 활극을 표방하는 영화로만주활극대륙활극대륙 만주물이라고 불린다이 영화의 내용은 티베트 불상을 쫓는 3명의 남자와 일본군독립군들의 충돌 속에서 진행된다세 남자가 만나고서로의 갈등을 그린 다음배신하는 장면과 구출하는 장면그리고 또 다른 갈등이 계속 반복되는 구조다마지막서로 힘을 합쳐 일본군을 이기는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이 세 명의 범법자가 티베트 불상을 쫓는 과정이 그리 특별하지는 않다이 영화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건 다른 부분이다.

 

내가 주목했던 부분은 연극이라는 단어이다중요한 사건에 들어가기 전 이제 1막이 시작 되는군라는 식의 추임새를 넣는가 하면 연극하지 말라는 대사가 나오기도 한다또 연극 무대의 막이 오르듯허장강의 뺨을 때리면하며 징소리를 낸다영화는 연극처럼 구성되었으며영화 안에서 이것은 꾸며진 극이다.라는 것을 계속 각인시켜준다이렇게 영화를 연극이라는 장치를 사용해서 꾸민 이유는 영화가 만들어내는 판타지에 너무 갇히지 말고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영화를 주체적으로 파악하라는 것이다판타지 속에 숨겨진 <쇠사슬을 끊어라>의 진짜 의미는 무엇일까

 

먼저지리학적 위치로 이야기할 수 있다. <쇠사슬을 끊어라>는 만주를 배경으로 하며웨스턴 영화에서 가져온 요소들을 사용한다그래서 만주 웨스턴혹은 대륙 액션이라고 불린다여기서영화의 배경이 만주인 몇 가지 이유와 의미가 있을 것이다세계사적 관점으로 만주라는 지역은 아시아의 서부였다모든 인종이 어우러져 살았으며이런 점에서 갈등의 요람이라 불렸다게다가만주에 있었던 독립군의 항일운동은 웨스턴 영화를 연상시키기도 한다이런 점이 만주가 가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이었다그 중에서도 만주의 가장 큰 의미는 저 너머 세계에 대한 판타지였다동북아시아에 대한 동경은 당시의 정치 현실로 인해 생겨난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킨다만주는 영화가 가지고 있는 저항과 열망의 분위기를 가장 잘 충족하는 최적의 장소인 것이다.

 

다음은영화가 제작될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로 이야기할 수 있다이 영화는 70년대 초즉 유신의 쇠사슬이 조여오던 시기에 만들어졌다박정희 시대의 유신은 국가주의 프로젝트에 합류하기를 강요받는 시대였고그 당시의 대륙 액션 영화에서도 주인공들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는 독립군의 정체성을 띠며국가 통제 근대화 프로젝트에 합류했다하지만 <쇠사슬을 끊어라>는 달랐다영화의 엔딩을 보면광활한 대지에 내리쬐는 석양을 향해 세 명의 주인공들은 달려간다즉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무법자의 길을 택한 것이다이렇게 영화는 식민지시기를 우회적으로 다루는 방식을 통해 국가주의 프로젝트에 부정적으로 대응한다다시 말해식민시기를 배경으로 하되 동시대를 다뤘던 것이다.  

 

<쇠사슬을 끊어라>의 판타지는 만주라는 지리학적 위치와 제작될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살펴봄으로써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이 영화는 유신 시대에 대한 재치 있는 저항 정신으로 읽을 수 있다마지막으로, (여담이지만과거의 역사를 배경으로 동시대를 다뤘다는 측면에서영화<변호인>이 떠오른다.